SK실트론

Global Semiconductor Silicon Wafer Company ESG Factbook

Governance

ESG 기반 경영진 성과 평가/보상 제도
1   ESG 기반 경영진 성과 평가/보상 제도
     


정책 SK실트론은 ESG 경영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경영진 보상에도 ESG 요소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경영진의 보상은 시장가치 및 수익성 등의 재무적 지표에 근거해 결정되었으나, CEO및 경영진 성과평가에 재무적 성과(EV) 뿐만 아니라 사회적 성과(ESG)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실시하도록 전사정책을 수립하였습니다. ’21년 부터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며 ESG 관련 KPI항목을 최소 10%에서 최대 100%까지 관련성을 고려하여 반영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ESG 성과지표를 경영진 보상체계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회적 가치 성과창출에 대한 경영진의 책임의식을 강화함은 물론 장기적인 기업가치 제고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이사 및 감사의 보수한도는 보수한도 범위내에서 담당업무, 전문성 회사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기본급을 결정하고, 이사회 보고를 통해 재무/비재무적 성과, ESG 요소 등에 대한 평가결과를 고려하여 성과급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실행
성과
실행성과
실행 항목 세부 내용
경영진 성과
평가 내 ESG 반영
‘’23년 전체 경영진 KPI에 ESG KPI 반영 비율을 10~100%까지 반영하여 성과평가 보상과 연계
- CEO를 포함한 최고 경영진 및 전사 임원 전원 ESG KPI 부여

이해관계자 ESG 니즈 파악
2   이해관계자 ESG 니즈 파악
     
SK실트론 중대성 도출

정책 SK실트론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와 기대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기업 활동 전반에 반영할 수 있도록 개정된 GRI 기준에 맞춰 이중 중요성 평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3년에는 이중 중요성 평가 방법을 고도화하였고, CEO를 포함한 경영진 보고 프로세스를 통해 6대 중점 영역을 도출 하였습니다.

중요 토픽을 선정하기 위한 프로세는 1. 대내외 환경 이해(지속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충실히 식별하기 위해 경영 활동, 이해관계자, 지속가능성 맥락을 이해하여 반도체 산업 특성 및 ESG관점에서의 지향점을 도출) 2ESG토픽 규명(반도체 산업 특성에 적합하며, 이해관계자가 요구하는 ESG토픽 규명) 3. 중요성 평가(선정된 토픽에 대해 사회,환경적 영향 및 재무적 영향을 분석하여 ESG경영에 미치는 의의 도출) 4. 중점 영역 도출(평가 결과에 대한 정량적 분석 후 6대 중점 영역 도출)


 

실행
성과


ESG 기준 적용 신사업/투자
3   ESG 기준 적용 신사업/투자
     
SK실트론 신사업 투자 정책

정책 SK실트론은 투자 의사결정 ESG Checklist를 수립하고 기존의 신사업 투자 프로세스 내 적용함으로서 신사업 투자 Item 선정, 투자 검토 및 실행, 투자 후 全 과정에서 ESG 기준 및 적용/평가 신사업 투자 프로세스 수립 및 실행하고 있습니다. 투자 Item 선정, 투자 검토 및 실행은 투자심의위원회/이사회 연계로 진행되며, 투자 후에는 ESG위원회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신사업 투자 全 과정에서 ESG 기준 적용 및 평가를 통해 투자 대상 기업의 기업의 제품/서비스 수요 증가, 자본 조달 비용 감소, 기업 이미지 상승 등 기업 가치 및 경영의 지속성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SK실트론 내부 투자 관리 규정

SK실트론은 미래 성장 동력 사업으로 투자의 영역을 확대하고 투자 사업과 ESG 효과를 연계하여 환경(E) 측면에서 당사 Net Zero 전략 적합성과 사회(S)/거버넌스(G) 측면에 미치는 영향 파악 및 Risk 최소화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내부 투자 관리 규정에 이를 반영하여 개정하였습니다.

목표
투자 분류 사업 분류 고려사항 ESG 평가
미래성장동력 사업 투자 기존 사업 外 회사 Value
증대 가능 사업
Net Zero 전략 적합성 및
이해관계자 영향력
외부 ESG 평가 List
(E,S,G 항목)
기존 사업 투자 기존 사업(Si) 효율성 제고 내부 ESG 평가 List
(E항목 중심)

 

목표 SK실트론은 지속가능한 미래성장을 위해 경제적 효과 뿐만 아니라 ESG 기준을 기반으로 신사업/투자 포트폴리오의 비중을 확대해 나가고자 합니다.

목표
2030 2025 2023
ESG 기준 적용 신사업/투자
포트폴리오 비중 100% 확대

- 반도체/전기차 向 고성능/친환경
첨단소재 사업 확대 및 성장
ESG 기준 적용 신사업/투자
포트폴리오 비중 70% 이상 확대

- 반도체/전기차 向 고성능/친환경
첨담소재 진입 및 사업 기반 구축
ESG 기준 적용 신사업/투자 실행
(1건 이상)

- SHE/LDD 실사 및 ESG 체크리스트
점검 後 승인된 件에 한하여 투자 추진

 

실행
성과
실행성과
실행 항목 세부 내용
신사업 투자
Item 선정
당사 ESG 기준에 적합한 에너지 효율이 높은 친환경 첨단 소재 기술 분야에 한하여 업체 검토 中
내부탄소
가격제 구축
신사업개발 및 M&A 추진時 탄소비용 추정 Check-list 도출
※ 탄소비용 추정방법 : 제품별 에너지 사용량(공정별 에너지 사용량의 합) *
사용 에너지별 배출량계수 (ESG 제공) * 판매량 * 탄소가격(ESG 제공)의 전체 합
투자 의사결정 ESG
Checklist 검토
투자 의사결정 ESG Checklist 검토를 통해 23.2Q 누적 11건 ESG 효과 적용
. 3공장 공업용수 폐열회수 System 설치 투자
. Open CST Cleaning UT 사용량 절감 투자 외 9건
투자심의위원회
운영
투자심의위원회를 통해 ESG추진담당 자문위원 검토 대상 2건 中 1건 승인
. 2공장 노후 Scrubber 교체 1건 승인(23.3月 투자심의위원회 제1회)

이사회 다양성/전문성/독립성
4   이사회 다양성/전문성/독립성
     
SK실트론 이사회 중심 경영체계

정책 SK실트론은 신뢰받는 기업으로 지속 성장하기 위해 이사회 중심의 경영 체계를 강화함으로써 중장기적으로 기업 가치를 개선하고자 합니다. 기업지배구조헌장을 제정하고 공개함으로서 회사는 투명하고 독립적인 지배구조를 확립하고, 이를 통해 이해관계자와의 상호 신뢰 관계를 발전시켜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로 이루어진 회사의 전체 가치를 증대시키고 지속가능한 성장에 대한 원칙을 공표하였습니다. SK실트론 이사회는 2023년 이사 4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ESG경영 사항을 포함한 회사의 업무 집행의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합니다. 이사는 3인 이상 9인 이하의 원식으로 상법 등 관련 법령 상의 절차에 따라 주주총회에서 선임하고, 주주총회에서 선임할 이사 후보자는 이사회에서 전문성, 다양성 등을 고려합니다. SK실트론은 이사회 규정 제14조(이사의 의무)에 따라 회사의 일정 수준 이상의 계약 거래 관계가 없음을 확인하여, 경영진과 지배주주로부터 독립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철저히 보장하고 있습니다.


 

실행
성과
실행성과
실행 항목 세부 내용
Governance 혁신 TF

이사회 중심 경영체계를 위해 기업지배구조헌장을 제정하고 이사회 관련 다양성/전문성/독립성에
대한 기준 마련을 통해 건전한 지배구조 확립을 위한 기반 확보
- 이사회 구성원의 다양성/독립성/전문성에 대한 자격 요건 공시


【 SK실트론 기업지배구조헌장 】 PDF Link




 

정량
데이터
정량 데이터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이사회 구성 여성 이사 수
이사회 구성 여성 이사 수 0 0 0
이사회 내 ESG 논의
5   이사회 내 ESG 논의
   

이사회 중심 ESG 경영 고도화

정책 SK실트론은 ESG 관련 논의들이 경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점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요 경영사항에 대한 의사결정 프로세스 내 ESG 안건 논의를 포함 위해 이사회 규정 상 ESG 안건 보고에 대한 프로세스를 수립하고자 합니다. 주요 ESG 활동에 대하여 연간 실적 및 계획 등 이사회 안건으로 보고합니다. SK실트론은 ESG 관점으로 경영전략이 확대되고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배구조 선진화 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자 합니다

 
ESG경영위원회

ESG 전담 조직인 ESG추진실은 전사 ESG 안건에 대한 정책 및 목표, 실행성과 등 주요 보고 안건 및 의사결정 사항 논의를 위해 경영진 차원의 ESG경영위원회를 설립하였습니다. 위원회 및 확대위원회 운영을 통해 全조직에 걸친 ESG경영 인식 변화를 유도하고 관여도를 높여 선제적 이슈 대응하고 이사회의 관여∙관리 감독 기능 강화를 위해 ESG경영위원회 논의를 통한 이사회 보고안건 선별하며, 지배구조 및 전략 등 체계적인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TCFD 등 Global Initiative 대응 수준 제고하고자 합니다.

구분 내용 비고
구성 CEO 중심 주요 조직 임원 7명 안건에 따라 참여 인원 추가 가능
주기 분기 1회 안건 상정의 이슈가 있을 시 추가 가능
안건 ESG 관련 Agenda 및 실행조직別 추진과제 계획 및 성과 -
보고 ESG추진실 및 각 실행부서 주요업무 실무자 배석 可


 

실행
성과
실행성과
실행 항목 세부 내용
ESG경영위원회 ESG 경영위원회 1분기 개최(3/9)
ESG경영위원회 1분기 (23.3.9) 안건 구분
전사 폐기물 원단위 관리 및 절감 추진 계획 보고
전사 에너지/용수 관리 및 절감 추진 계획 보고
CDP 리더십 유지 방안 보고
협력사 ESG RISK 관리(진단 및 개선) 추진 계획 보고

ESG경영위원회 2분기 (23.6.9) 안건 구분
Net Zero 2040 현행화 (RE100 포트폴리오 案) 의결
지속가능연계금융(SLL, Sustainability-linked loan)
추진 계획 및 자금 조달을 위한 ESG KPI 수립
의결
인권진단 추진 경과 보고 보고
탄소가격제의 미래와 SK의 대응
- 내부탄소가격제 도입
공유

ESG경영위원회 3분기 (23.9.12) 안건 구분
환경(용수,폐기물) 중장기 목표 수립(안) 승인의 건 의결
‘23년 SK실트론 인권경영 고도화 프로젝트 결과 보고의 건
추진 계획 및 자금 조달을 위한 ESG KPI 수립
보고
ISO 37001(부패방지경영시스템) 인증 보고의 건 보고
23년 그룹 ESG 핵심지표 평가 결과 보고의 건 보고

이사회
ESG 안건 보고
Net Zero 등 ESG 주요 사안에 대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중요 사항(연간 실적, 개선 및 향후 계획 등)에 대해 이사회 보고 (5/25)

반부패 및 반부패 교육
6   반부패 및 반부패 교육
     
SK실트론 윤리경영 체계

정책 SK실트론은 SKMS(SK Management System)를 기업 경영의 근간으로 사회·경제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나아가 인류의 행복에 공헌하는 기업경영을 실천하고자 하며, 윤리경영을 기반으로 기업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여 지속가능한 기업으로서 성장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윤리규범을 제정하여 모든 경영활동에서 의사결정과 행동의 판단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세부 판단기준과 구체적인 행동 지침인 윤리규범 실천지침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시하고 매년 구성원들이 서약을 실시하고 있는 윤리경영 실천 서약서 및 부패 방지 준수 서약서가 실천지침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윤리규범 실천지침에는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한 의사결정과 행동의 판단기준을 제공하고 있으며, 제보자 보호 규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제보자 보호 규정은 제보자 신원 보호 및 비밀 유지, 불이익 금지 원칙, 보복 금지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반부패 정책 및 감독/책임

  SK실트론은 구성원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비윤리적 행위를 지시 받은 경우 이를 거부할 수 있고, 이러한 거부 행위에 대해 회사는 어떠한 불이익/차별/보복도 용납하지 않는다는 반부패 및 윤리경영에 대한 원칙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반부패 정책에 대해 준법경영위원회(감사위원회 대체) 및 CEO 직속 조직인 자율책임경영지원담당을 윤리경영 전담 부서로 지정하고 반부패 정책에 대한 준법경영위원회와 CEO 차원의 감독 및 책임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발생가능한 Risk와 윤리/반부패에 대한 관리감독 관련 최고의사결정기구로 감사위원회와 유사기능을 수행하는 준법경영위원회을 설치 및 운영 중이며, 윤리경영 담당부서의 전반적인 업무를 총괄하고 책임지고 있습니다. 더불어 전 구성원 대상의 별도 반부패 규정을 보유하고 있으며, 부패방지방침을 홈페이지에 공시하여 반부패 관리 정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SK실트론 반부패 교육 방침

  SK실트론은 다양한 윤리경영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윤리경영 실천에 대한 구성원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윤리 실천의지를 내재화하고 있습니다. 윤리문화 확산을 위해 해외사업장, 계약직, 경영진, 이사회 구성원을 포함한 모든 구성원(시간제 포함)을 대상으로 반부패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윤리/반부패 교육 강화를 위해 전사 공지 실시 및 Letter 송부를 통해 구성원의 반부패 Mind 제고를 하고 있으며, 온라인 윤리경영 교육 및 리더 주관 토론식 교육인 윤리실천 워크숍을 매년 자회사를 포함한 모든 구성원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윤리경영실천 설문을 통해 도출된 취약한 항목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점진적으로 개선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협력회사에게도 반부패 교육을 확대 시행하고 있습니다. 준법경영위원회 위원 대상의 별도 교육 실시하여 경영진의 반부패을 의식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Compliance Risk 발생 Zero를 경영진의 KPI로 수립하고 경영진 주도의 윤리경영 관리체계를 수립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임직원 外 이해관계자 대상으로는 윤리경영 확대 정책을 통해 ‘함께하는 윤리경영’ 등의 주제를 선정하여 매년 협력회사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목표
목표
  2030 2025 2023

      반부패

  제반 법규 위반 0건
경영진의 부정비리 Zero
자회사 반부패 활동 강화
- 자회사 윤리경영체계 수립
- 부정비리 모니터링 기반 개선
- 성과 지속 점검 및 업데이트
제반 법규 위반 0건
경영진의 부정비리 Zero
반부패 활동 자회사/협력사 확대
- 자회사/협력사 대상 교육 확대
- 부정비리 모니터링 기반 개선
- 시스템 개선 등 사후관리 고도화
제반 법규 위반 0건
경영진의 부정비리 Zero
반부패 활동 강화
- 全 구성원 대상 교육/의사소통
- 부정비리 상시조사
- 제보 프로세스 개선 및 실행

      반부패 교육

  교육 이수율 ≥ 100%
자회사/협력사 교육 확대

- 교육 이수율 KPI 반영
- 교육 개선 활동 자회사 확대
- 자회사/협력사 대상 교육 확대
교육 이수율 ≥ 98%
자회사/협력사 교육 확대

- 교육 이수율 KPI 반영
- 교육 콘텐츠 개발 등 개선 실시
- 자회사/협력사 대상 교육 확대
교육 이수율 ≥ 95%
자회사/협력사 교육 실시

- 교육 이수율 KPI 반영
- 전사공지, Letter 송부 시행
- 자회사/협력사 대상 교육 실시

 

실행
성과
실행성과
실행 항목 세부 내용

      반부패

준법경영위원회
설치 및 운영
‘23년 2월 감사위원회와 유사기능을 수행하는 준법경영위원회(내부감사부서의 전반적인 업무 총괄)를 설치하였으며 4월부터 매월 개최하여 운영 중
부정비리 모니터링을
통한 개선 실시
직장내 괴롭힘 등 제보시스템을 통해 접수된 이슈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여 대상자에 대해 엄격한 징계를 실시하고, 개선조치를 위해 매월 구성원 向 전사공지 및 Letter 송부 등 실시
제보자 보호,
감사시행
익명성 보장, 비밀유지 등을 포함한 제보자 보호 정책을 운영 중이며 별도 제보자 보호 규정 제정(‘23.6월), 이슈 사항에 대해 감사 실시
ISO 37001 인증 ISO 37001(부패방지경영시스템) 인증 완료(‘23.8월)
윤리실천서약
부패방지준수서약
SK실트론 및 자회사 구성원에 대해 23년도 윤리실천서약 및 부패방지준수서약 실시
SK실트론의 BP 및 자회사의 BP에 대해 23년도 BP 윤리실천서약 실시

      반부패 교육

교육 계획 수립 SK실트론 및 자회사의 전 구성원(CEO, 경영진, 계약직, 시간제 포함) 윤리교육 실시
협력회사 윤리경영 교육 실시(‘23.7월)
교육 이수율
KPI 반영
23년도 전사 담당이상 KPI에 구성원의 윤리/반부패 교육 이수율을 반영하여 이수율을 제고하도록 함
준법경영위원회
위원 대상 교육
23년 2월 제1차 준법경영위원회 실시 일정에 맞추어 위원 대상 별도 윤리/반부패 교육을 실시하여 경영진의 반부패 의식을 강화함
전사 공지 및
Letter 송부
윤리/반부패 관련 교육 효과 강화 및 구성원의 Mind 제고를 위해 매월 전사 공지 및 Letter를 송부하고 있음

정량
데이터
정량 데이터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반부패 관련 규제 위반 건 수
반부패 관련 규제 위반 건 수 0 0 0
ESG 관련 글로벌 파트너십 참여
7   ESG 관련 글로벌 파트너십 참여
     
ESG Global Initiatives

정책 ESG 이니셔티브(ESG Initiative)란 ESG 관련 주제에 대해 자발적으로 논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목표와 실천방안을 만들어내는 구조나 권리의 협의체를 의미합니다. GRI, SASB, CDP, UN SDGs, RE100 등 ESG 영역 및 산업별/분야별 다양한 글로벌 이니셔티브가 구축되고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또한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 기업의 자발적 참여는 의무화 추세로 변하고 있습니다. 이에 SK실트론은 산업 특성을 고려하여 당사의 중대성 평가 항목과 SDGs 연계 핵심주제 기반 참여 이니셔티브 선정하고 참여함으로 기업의 이미지 제고뿐 아니라, 정보 교류 및 파트너십 관점에서도 임팩트 창출을 하고자 합니다. SK실트론은 30년까지 산업적 특성과 경영상 중요 Agenda를 고려해 적합한 이니셔티브를 지속적으로 선정하여 확대, 참여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목표 SK실트론은 주요 글로벌 ESG 이니셔티브를 분석하여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의 3개 영역 내 정책 및 목표를 수립하였습니다. 특히 글로벌하게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환경 중심의 ESG 이니셔티브를 우선 대응하고 그 범위를 다양한 카테고리로 확장하고자 합니다. 또한 추진 방안을 고도화하고 개선해나가고자 합니다

목표
  2030 2025 2023
RE100
(재생에너지100%사용)
재생에너지
75% 전환
재생에너지
30% 전환
재생에너지
23% 전환
Carbon Trust
(제품 전과정 기반 인증)
제품 단위의 지속적인
환경영향 감축 활동 전개
전제품 탄소/물발자국
“Reducing” 인증
전제품 탄소감축
“Reducing” 인증 유지,
전제품 물발자국
“Reducing” 인증 준비
CDP
(기후정보공개)
CDP Climate Change &
Water Security
업계 선도 수준 달성
CDP Climate Change &
Water Security
업계 선도 수준 달성
CDP Climate Change &
Water Security
Leadership
ISO
(국제표준기구)
ESG 경영시스템 인증 기반
리스크 관리 및 활동 강화
ESG 관련 인증 확대 부패방지경영시스템
(ISO 37001) 인증
ZWTL
(매립 폐기물 제로화)
전 사업장
Platinum 등급 획득
Platinum 등급 1개 사업장
이상 획득
전 사업장
Gold Level 유지


 

실행
성과
실행성과
실행 항목 세부 내용
Net Zero Net Zero 2040년 넷제로 달성 시점 및 이에 대한 이행 계획 수립 및 실행
RE100 녹색프리미엄제 재생에너지 확보(213GWh)를 통한 RE100 추진
23% 이상 재생에너지로 전환
ESG 이니셔티브
영향력 확대 추진
기후관련 공시 대응을 위한 민간 연합체 ‘한국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얼라이언스’ 발족 초대 멤버 참여 및 TCFD 지지선언(‘23)
UN Global
Compact
UN Global Compact 가입(’23) 및 연계 프로그램 지지/참여

자회사/손자회사 ESG 추진 현황
8   자회사/손자회사 ESG 추진 현황
     
SK실트론 자회사/손자회사 ESG 관리 정책

정책 SK실트론 ’21년 업계 최초 2040년 Net Zero 조기 달성을 공표하고 매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수립하고 있습니다. SK실트론의 미국내 손자법인인 SK실트론 CSS도 본사와 함께 ’22년에 Net Zero 이행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23년에 CSS 내에 ESG 관리팀을 신설하여 ESG경영을 시작했습니다. 연도별 ESG경영 고도화 roadmap을 수립하고, 탄소배출 등 환경 목표 달성을 우선순위의 목표로 설정하고 추진하고 있습니다.

CSS는 ’23년도에 RE100 실행을 목표로 ‘23년 내부 KPI에 ESG를 새롭게 포함했으며, 이는 본사의 2040 Net Zero에 발맞추어 진정성 있게 ESG경영을 하겠다는 CSS의 의지의 반영입니다. ’23년 상반기에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기초 조사를 통해 3자 기관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지속적인 탄소배출량 측정 및 모니터링을 기반으로 하반기는 RE100 실행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최고경영진에게 보고하고 있으며 최고경영진은 ESG에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사적인 ESG 관리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SK siltron CSS는 SK실트론의 미국 내 손자법인으로 매출거래가 발생하는 회사로 SK siltron의 자회사/손자회사 유일 관리 대상 회사임


 

목표 ESG경영 고도화 roadmap기반 탄소배출관리를 우선 목표 달성 지표로 관리하고 있으며, 2040 재생에너지 100% 전환을 목표로 2025년 RE100 본격 시행을 위해 이행 계획 수립하고자 합니다.

목표
2040 2030 2025 2023
재생에너지 100% 전환
Net Zero2040 달성
재생에너지
75% 전환

재생에너지 30% 전환
RE100 실행 개시 및
에너지 Data 제3자
기관 인증

- PPA 계약 활용 및 부족 시 REC, 녹색 프리미엄 구매를 통한 전환 - 녹색 Premium 활용 7.5% 및 PPA 계약 22.5%


 

실행
성과
실행성과
실행 항목 세부 내용
CSS ESG 경영 기반 확보 Net Zero 이행 계획 수립 및 보고(’22.12월)
CEO 직속 ESG 팀 신설 및 ESG Manager 임명(‘23.2월)
KPI 상 ESG 비중 2.5% 반영
Carbon footprint 인증을 위한 탄소배출 측정 및 모니터링 지속(’23.4월~)
Carbon footprint 인증(’23.6월)
지배구조 공시 여부 현황
9   지배구조 공시 여부 현황
     


 
지배구조
구분 지표공시여부 내용
지배구조
성과평가 및 보상 보상위원회 설치/운영 현황 해당없음 -
이사회 구성 및 운영 이사회 운영 현황 Y 이사회는 이사 4명으로, 사내이사 2명과 기타비상무이사 2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2년은 총 14회의 이사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이사회 보수 정책 Y 이사회는 이사 4명으로, 사내이사 2명과 기타비상무이사 2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내이사 2명은 주총에서 결의된 이사보수한도 범위 내에서 보수를 지급하고 있으며,
기타비상무이사 2명은 무보수 정책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평가 현황 해당없음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설치/운영 현황 해당없음 -
감사위원회 운영 감사위원회 설치/운영 현황 해당없음 -
주주가치 제고 주주권리 보호 정책 Y 지배구조헌장 제 32 조 (주주권 보호)에 의거해 주주권리 보호 정책을 보유하고 있음
주주환원 정책 Y 정관 제44조 (이익배당), 제45조 (중간배당) 에 의거해 주주환원정책을 보유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