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실트론

Global Semiconductor Silicon Wafer Company ESG Factbook

Envrionment

Net Zero 넷제로
1   Net Zero 넷제로
     
SK siltron Net Zero 2040

정책 SK실트론은 온실가스가 지구 기후에 초래하는 변화의 심각성을 깊이 인식하여 이를 줄이기 위한 자발적 노력을 시작하였습니다. SK실트론은 국제 협약인 파리기후변화 협약을 지지하며 기후변화 Risk 대응을 위해 자발적으로 2040년까지 Net Zero를 선언하고, 더불어 RE100 이니셔티브 가입을 통해 재생 에너지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Net Zero 시나리오 수립

SK실트론은 파리기후협약 이행을 위한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시하는 SBT(Science Based Targets, 과학기반목표) 1.5 ℃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Net Zero 이행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더 나아가 SBT 1.5 ℃ 시나리오 상 2020년을 Base Year로 Net Zero 수립할 시 2045년 Net Zero 달성이 가능하나,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40년 달성을 목표로 Net zero Pathway를 수립하였습니다. 이는 SK실트론의 지속적인 사업 성장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효율화를 통한 에너지 직접 감축, RE100 이행, CDM사업 등을 통한 상쇄 사업 추진을 통해 2020년 기준년도보다 낮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겠다는 도전적인 목표입니다. SK실트론은 장기 목표의 적극적 이행을 위해 매년 사업계획을 바탕으로 이행계획을 업데이트 하고 있으며, 5년단위 중간 목표를 수립하여 장단기적인 성과를 지속 측정〮관리합니다. 이러한 성과는 다양한 제3자 인증을 통해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이해관계자와의 신뢰와 소통을 확대하고 지속적인 사회적 합의를 토대로 경제적 성과 (EV, Economic Value) 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 (SV, Social Value)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ㆍ조직 경계: 국내 SK실트론 전 사업장, 미국 SK실트론CSS 전 사업장1)
ㆍ대상 배출원: 사업장 온실가스 직접 배출 및 구매 에너지 사용에 따른 배출(Scope 1, Scope 2)
ㆍBAU(Business As Usual) 추정 근거: 각 제품 생산량 전망치와 제품생산량 당 온실가스 배출량 집약도를 고려하여
      2050년까지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배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배출량 추정(증설 계획 포함)
      1) 미국 CSS 사업장의 경우, 2025년부터 포함
      2) SBTi 장기 목표 수준(기준연도 배출량 대비 90% 감축) 및 잔여배출량에 대한 중립(Neutralization) 고려하여 경로 설정
            (출처 : SBTi Corporate Net-Zero Standard Version 1.0, 2021.10)


SK실트론은 Scope2의 배출량이 약 95% 이상으로 일반전력을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전환하는 RE100 이행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중요한 감축 수단입니다. SK실트론은 RE100 이니셔티브 가입(’21년)을 통해 적극적으로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2년에는 Net Zero이행 계획에 기반하여 녹색프리미엄 입찰을 통해 재생에너지 비율을 19.5%로로 확대하였으며 ’23년에는 23%를 목표로 지속 확대하고자 합니다. 또한 협력사 재생에너지 설치 지원 사업 등 재생에너지 관련 정부 정책 참여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SK실트론의 ‘23년 온실가스 배출목표는 20년 기준년도 대비 15%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제조 및 간접설비 관리조직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감축량 KPI를 수립하고 전 사업장에 ISO 50001(에너지경영시스템) 도입을 통해 다양한 온실가스 감축 과제를 발굴〮실행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SK실트론이 Net Zero를 달성함에 있어 무엇보다 실직 감축량을 우선 확대하고 이를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진정성 있는 Net Zero 달성을 이루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반영입니다.


 

목표 SK실트론은 2021년 6월 업계 최초 2040년 Net Zero 조기 달성 공표하고 매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수립하고 있습니다. SK실트론은 에너지 온실가스 중장기 목표 하에 2022년 단기 목표를 수립하여 감축활동을 추진하고 매년 성과평가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제조 및 간접설비 주요 관리부서를 대상으로 온실가스 감축 KPI를 수립하고, ISO50001(에너지경영시스템) 인증을 통해 보고체계 구축, 에너지 목표 수립 및 달성, 지속적인 직접 감축을 위한 과제를 발굴하여 전사 조직 차원에서 온실가스 직접 감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목표
  2040 2035 2030 2025 2023
온실가스
감축 목표
Net Zero 달성
- 목표 배출량 0
Base year 대비
75% 감축
Base year 대비
48% 감축
Base year 대비
15% 감축
Base year 대비
15% 감축
RE100
재생에너지 전환
100% 전환 90% 전환 75% 전환 30% 전환 23% 전환
≥ 97천톤
상쇄 ≤ 3.6% ≤ 2.4% ≤ 0.1% ≤ 12.2% -

*2025년부터 손자회사 SK Siltron CSS 포함
** 상쇄 수단은 전체 감축량의 15%를 넘지 않으며 감축 수단 중 최소화를 목표로 함



 

실행
성과
실행성과
실행 항목 세부 내용
온실가스
배출 목표
넷제로 기준년도 2020년 배출량 37.2만톤 대비 15% 감축된 31.5만톤(23년 예상*)
* 온실가스 배출량 미확정 및 상쇄배출권(CER) 미사용 예정
직접 감축 공업용수 폐열회수, 미사용 응축수 회수, UPW 펌프 교체 및 인버터 설치 등을 통한 에너지 감축활동 추진
총 직접 감축량 14,425톤(23년 예상)
재생에너지
비율 확대
RE100 및 Net Zero 2040 목표 달성을 위해 국내 RE100 인정 수단인 녹색프리미엄
비중 ’21년 3% (24GWh), ’22년 19.5%(168GWh) 대비 ‘23년 예상전력소비량의 23%로 확대
외부 상쇄
사업(CDM)
미얀마 쿡스토브 보급 사업 추진, 쿡스토브 열효율 향상으로 조리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연료 사용량 저감을 통한 온실 가스 감축 효과 발생
- ’21년 1차 6만톤 CER 발급 완료
- ’22년 2차 사업 진행 중
- ’22년 3차 사업 추진 중
협력사
인게이지먼트
재생에너지 협력사 인게이지먼트를 위해 정부 재생에너지 설치지원 사업 참여(’22년)
’23년 정부 재생에너지 설치지원 사업 참여 예정(現미공고)


기후변화 대응
2   기후변화 대응
     
이사회/경영진 감독 및 역할/책임

거버
넌스
SK실트론 이사회는 독립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이사 4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기후변화 대응 관련 사항을 포함한 회사의 중요 업무 내용을 심의하고 의결합니다. 기후변화 대응 관련 회사의 주요 정책과 전략을 검토하고, 비즈니스 혁신을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과 가업가치 극대화를 목표로 경영진이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SK실트론은 2022년 이사회 보고 체계 강화 방안을 마련하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이사회의 감독 기능을 강화(매년 2회 이상)하였으며, 향후 이사회 산하 ESG 전문 위원회를 설치하고 기후변화 관련 전문성과 독립성 있는 사외이사를 선임하는 등 이사회 감독 기능을 강화 할 예정입니다. SK실트론 CEO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기후변화 대응에 관한 요구가 기업 경영 전반에 미칠 영향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습니다. SK실트론 CEO는 ESG 경영을 총괄하는 최고 의사 결정기구인 ESG 경영위원회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을 포함한 ESG 주요 안건을 논의하고, 결정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관련 전략 및 ESG 경영을 위한 주요 업무를 관장하는 ESG추진담당은 CEO직속 조직으로써 주요 성과 및 유관 부서 ESG 관련 의사결정 사안을 ESG경영위원회를 통해 보고 할 수 있도록 운영 하며, 피드백을 통해 전략 이행 시 반영 합니다. ESG경영위원회는분기 1회 이상 개최 하고 있으며,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성장 관련 주요 이슈 발생 시 수시로 운영 합니다.

전략
이사회 보고 개최 시기 이사 참석률(%)
SK실트론 전사 KPI 수립 보고의 건 中 Net Zero2040 목표/수립 보고 ’23년 5월 100%

 
기후변화 성과 보상 인센티브 제공

최고경영자인 CEO부터 주요 경영진, ESG추진담당 등 기후변화 대응 관련 부서장 및 실무자 등에게 부서별 특성에 맞는 KPI를 부여하고, 기후변화 관련 KPI 성과에 따라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성과 창출을 위한 제도 및 프로세스를 마련하고 지속적인 관리 및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전략 SK실트론은 기후변화 관련 리스크로 Global 탄소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중기(’25~’30)에는 배출권 등 부담에 따른 공급망 원가 상승 리스크 및 전력 부문의 탄소 감축 부담이 원재료와 전력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는 리스크를 중대 리스크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한편, 전기차 보급 확산에 따른 전력반도체용 웨이퍼 수요의 급격한 증가는 단기부터 새로운 수익 창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재생에너지 발전 단가의 하락과 RE100(Renewable Energy 100%) 달성 전략에 따른 SK실트론의 재생에너지 전환은 중장기적으로 탄소 감축 뿐만 아니라 에너지 조달 비용을 절감하는 기회 요인으로 작용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비즈니스 영향 분석(단/중장기)

SK실트론은 단기(1~2년 사이), 중기(~5년 내외) 장기(10년 이후)로 리스크 및 기회 요인을 구분하여 사업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 있으며, 리스크의 경우 전환리스크와 물리적 리스크로 구분하여 그에 맞는 중장기 Biz 영향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기후변화 시나리오

SK실트론은 글로벌 기후변화 시나리오인 SBTi(과학기반목표) 1.5 ℃ 시나리오 기준보다 더 많은 감축활동을 통해 더 빠른 시점인 2040년에 Net Zero달성을 하기 위한 세부계획(ISO50001 도입을 통한 제조공정 상의 직접 감축활동 및 Item 발굴 노력, 녹색프리미엄 구매 등) 을 세웠으며, S&P Global 기후 시나리오 기반 Financial Impact 분석하였습니다.


전략
  분류 분석 기준 영향도
리스크 전환 S&P Global의 국가별 Carbon Pricing 2030년 까지 기준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하지 않는 경우(BAU), 14백만불(Low 시나리오) ~ 76백만불(High 시나리오)의 탄소 비용 리스크에 도출 될 것으로 보이나, Net Zero를 통해 탄소비용 부담금액은 High 시나리오 대비 43% 수준으로 감소가 예상 됩니다.
물리 S&P Global의
Climanomics hazard modeling
IPCC 6차 평가보고서의 SSP 2-4.5 및 SSP 5-8.5 시나리오 하에서도 7대 기후 리스크 요인으로 인한 자산 손실율이 위험 수준(16% 이상) 보다 현저히 낮습니다.
기회 Yole Development 전망
에너지경제 연구원 재생에너지 전망
녹색분류체계에 해당하는 전력 반도체용 시장 규모 성장에 따른 실리콘 카바이드(SiC) 웨이퍼 매출 증대 및 고객사로부터 탄소 감축 기여 인정 시 고객 신뢰 향상을 기반으로 경쟁사 대비 시장 점유 증대 효과가 예상 됩니다.


 
리질리언스

SK실트론은 기후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비즈니스 기회는 최대화하기 위한 기후변화 대응 4대 전략 방향을 수립하였습니다. 4대 전략 방향은 ‘전략① 2040년까지 사업장 온실가스 배출 Net-zero 추진’ , ‘전략② 주요 공급망 협력사와의 협력을 통해 공급사슬 전반에 걸친 탄소 비용 증대 리스크를 관리’ , ‘전략③ PPA(전력구매계약) 등을 활용한 재생에너지 전환을 통해 중장기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여 발전부문 탄소비용 전가에 따른 전력 비용 상승 리스크를 완화’ , ‘전략④ 탄소 감축에 기여하는 전력반도체와 저탄소 제품 혁신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SK실트론은 기후 대응 전략이 다양한 시나리오 하에서 회복탄력성을 갖추고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산업기술의 발전에 중심을 두고 화석연료 사용이 높고 무분별한 개발히 확대될 것으로 가정하는 Hish Risk 시나리오(SSP 5-8.5)를 가정하여 검토하였고, 예상되는 탄소가격 리스크와 하천 범람 등의 물리적 리스크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전사 리스크 관리 체계 수립을 통해 불확실한 환경 변화에도 적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대응 전략을 구체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중대 리스크 식별 및 평가

위험
관리
SK실트론은 매년 리스크 평가 작업반(기후 대응 실무 협의체)을 통해 유관 부서 내 기후 리스크 요인을 파악하고, 중대성을 분석하는 평가 프로세스를 운영합니다. 이를 통해 도출된 중대 기후 리스크와 대응 방안은 ESG경영위원회에 보고되며, 전사 리스크 관리에 반영됨으로써 SK실트론에게 영향을 주는 중대 기후 이슈를 빠짐없이 식별하고 그 영향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합니다.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SK실트론은 주요 기후 리스크를 대응하기 위해 주요 사업 전략 의사결정 판단시 해당 리스크의 영향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신사업 투자 아이템 선정 시 투자 대상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 영향을 포함하는 등 기후변화로 인한 재무적인 영향도를 함께 평가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22년 부터 SK실트론은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는 신규 사업이나 공정 개선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내부 탄소 가격 매커니즘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투자 사업의 탄소 감축 효과를 산정하고 해당 감축으로 인한 재무적 영향이 투자 의사 결정에 반영이 되도록 하는 방식 입니다.


 
전사 리스크 관리 체계 내 기후리스크 통합

SK실트론은 기후 이슈를 전사 리스크 관리에 효과적으로 통합하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접근 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첫째, 기후변화 리스크 요인의 복잡성과 상호 연계성을 고려하여 관련 부서로 구성된 실무 협의체를 운영하고, 본 협의체를 통해 중요 기후 이슈를 도출합니다. 둘째, 전사 리스크 관리를 담당하는 전략기획 부서가 전사 관점의 리스크 요인별 중요성을 비교 평가하여 핵심 리스크를 선별합니다. 셋째, 분기별 핵심 리스크에 대한 KPI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전사 사업 연속성 관리 계획(BCP) 수립에 반영합니다.


폐기물 재활용
3   폐기물 재활용
     
폐기물 매립 제로 정책

정책 SK실트론은 자원의 소비와 폐기물 발생을 줄이고 재활용은 높이는 자원 선순환 시스템을 구축하여 지속가능한 순환 경제 실현을 위한 혁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SK실트론은 반도체 웨이퍼 산업의 특성상 용수와 폐기물을 중점 관리 대상으로 선정하고 기업의 자원순환 노력을 평가하는 지표이자 기준인 글로벌 이니셔티브를 활용하여 성과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폐기물 분야 국제적 검증 제도인 ZWTL(Zero Waste to Landfill, 폐기물 매립 제로)을 통해 모든 사업장을 대상으로 폐기물 자원화 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SK실트론은 폐기물 재활용률을 개선하고자 부서간 협업을 통해 매년 절감 과제를 발굴하고 이를 적극 실행하여 자원순환경제로의 이행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모든 사업장에 대한 폐기물 재활용률 개선

목표 SK실트론은 2021년 사업장 2개에 대해 ZWTL(Zero Waste to Landfill, 폐기물 매립 제로) 검증을 통해 폐기물 재활용률을 98%이상 개선하며 Gold 등급 획득하였습니다. 22년에는 모든 사업장의 폐기물 재활용률을 개선하고 Gold 등급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폐기물 관리 조직에 KPI로 부여하여 성과에 대한 평가 및 보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폐기물 재활용
  2022 2021
 

전공장* ZWTL Gold 인증 획득
- 1공장 Gold Level 신규 인증
  폐기물 재활용률 ≥ 95%
  *현 가동 중인 공장 대상

ZWTL 인증 획득
- 2.3 공장 Gold Level
  폐기물 재활용률 ≥ 98%



 

실행
성과
실행성과
실행 항목 세부 내용
ZWTL
인증 신규
2021년 2,3공장 Gold 레벨 인증획득에 이어 2022년 신규 사업장(1공장) Gold Level 획득
ZWTL
인증 갱신
2022년 갱신을 통해 2,3사업장의 Gold 등급 유지
폐기물 절감 폐기물 매립 및 소각량 절감 과제 발굴 및 실행
- 배관 개선(크롬 함량 저감)을 통한 폐수처리오니(매립) 절감, 재활용업체 발굴을 통한 폐목재(소각) 절감


청정기술
4   청정기술
     
실트론 저탄소 제품/솔루션 개발 전략

정책 SK실트론은 기존 Si Wafer사업을 넘어 지속 가능한 성장과 외부 이해관계자의 니즈와 기대에 부합하는 Value를 제공하기 위해 높은 효율을 바탕으로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키는 SiC 웨이퍼 기술업체인 CSS와 고성능 방열/발열 복합소재 기술 업체인 테라온 인수를 통해 당사 비즈니스 핵심 Target 성장 분야인 고효율〮저전력(청정기술) 기술 분야로 사업 Portfolio를 확장해나가고 있습니다. SK실트론은 EV/ 5G 분야에서 고효율〮저전력 Portfolio를 보유한 독보적 Global Top 소재 회사로써 발돋음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저탄소 제품개발을 위한 투자 검토 및 연구개발(R&D)을 지속하고 있으며, 당사의 저탄소 청정기술을 통해 친환경적인 세상을 만드는 데 더욱 일조하고자 합니다.

【SiC웨이퍼】
SK Siltron CSS가 생산하는 SiC(Silicon Carbide) 웨이퍼는 내고전압, 내열 특성으로 전력변환 손실률이 우수해 전기차에 적용되는 전력반도체의 핵심 소재입니다. SiC Wafer 기반의 반도체는 고전압, 고주파, 고온에서도 기존의 Si(Silicon) Wafer 기반의 반도체보다 반도체 성질을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SiC가 Si보다 밴드갭이 넓고, 높은 절연파괴 전계,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동일한 반도체 소자에 소재만 Si를 SiC로 대체하였을 때 스위칭 시의 전력 손실이 약 15% 개선되며, 전력 사용 절감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력 감축 방법론을 개발하여 SK 탄소감축 인증센터에 ’22년 12월에 방법론을 등록하였습니다.(등록번호 SK-22-004). EV용 전력반도체 고객 호가보 및 증설을 진행 중이며, 원가 경쟁력을 위한 생산성 개선과 EV용 (高품질 요구) 적용을 위한 Top tier 고객사 요구 품질 수준에 부합하기 위해 품질 혁신 진행 중입니다.

【테라온】
테라온의 CNT 기반 발열필름 기술은 Legacy 제품 比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히터 활용 가능 분야의 최적화 기술로 저탄소 제품 혁신을 통한 수익 창출 구축이 가능합니다. 특히 주요 사업 중 하나인 EV用 실내복사난방 필름히터는 전기차 차량 내부 난방을 위해 장착될 경우, 기존 제품(열선히터, PTC히터) 대비 전력 효율 개선이 약 15~40%가 가능해 탄소 감축에 많은 기여 가능하며, 현재의 기술에 만족하지 않고 2030년까지 2022년 기준 주행거리당 전력사용량(0.1268kWh/km, 기존 제품比 20% 절감 전제) 대비 50% 절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목표
목표
  2030 2025 2023
【SiC웨이퍼】 탄소감축 141만톤
- Global No.1 M/S 목표
탄소감축 23만톤
- Global Top 수준 생산성/ 품질 달성
200mm 양산 돌입
탄소감축 5만톤
- 생산성/ 품질 혁신
- LTA 확보 통한 고객 기반 확대
【테라온】 연간 50만대分 판매
(누적 탄소감축량 278,349tCO2eq/yr)
‘22년 比 소모에너지 절감율 50% 달성
EV用 外 산업분야 內 저전력 발열필름
3개 이상 양산 추진

- EV용 실내복사난방필름
고객 및 적용부위 확대
- 발열필름 신규 적용 분야 內 M/S 확대
- 저전력 기술 개발
연간 10만대分 판매
(누적 탄소감축량 13,389tCO2eq/yr)
‘22년 比 소모에너지 절감율 25% 달성
EV用 外 산업분야 內 저전력 발열필름
1개 이상 양산 추진

- EV用 실내복사난방필름 고객 및 적용
부위 확대
- 발열필름 신규 적용 분야 사업 기반 구축
- 저전력 기술 개발
EV用 실내복사난방 필름히터 적용 확정
‘22년* 比 소모에너지 절감율 10% 달성
EV用 外 산업분야 內 저전력 발열필름
Qual. 추진

- 고객 수주 가속화 (Qual. 신속 대응)
- 발열필름 적용 가능 산업분야 발굴
- 기술 로드맵 실행 계획 상세 수립

*2022년 주행거리당 전력사용량 : 0.1268kWh/km



 

실행
성과
실행성과
실행 항목 세부 내용
SiC 생산성/ 품질
혁신
’24년 Global Top 수준 150mm 생산성/ 품질 달성 목표 下 과제 진행 중
SiC 200mm 개발 ’25년 양산 돌입 목표로 ’24년 공정/ 양산 체제 준비 중
EV用 실내복사난방
필름히터 판매 확대
OEM A社 向 첫 차종內 양산 업체로 선정
OEM A社 向 후속 차종 본 연구/개발 참여 中
필름히터 전력
절감 기술 개발
EV용 실내복사난방 필름히터 Assy 구조 검증 및 발열 성능 최적화 진행 中
필름히터 정밀 제어를 위한 빠른 온도 Response time 및 200℃ 이상 사용이 가능한
신규온도센서 최종 검증 中
필름히터 제어기의 온도 제어 S/W 설계 최적화
필름히터 적용
분야 확장 관련
필름히터 3D 성형 기술/전면(全面) 발열/터치감지 설계 개발 완료
반도체 분야 신규 진입 위해 B社와 제품 Qual. 진행 中


Lowest Carbon Wafer
5   Lowest Carbon Wafer
     
 

전략 SK실트론은 전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제조를 추구합니다. ‘가장 탄소를 적게 배출하는 웨이퍼 (Lowest-Carbon Wafer)’는 SK실트론이 지향하는 프리미엄 웨이퍼의 모습이며, 친환경 반도체로의 변화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상징합니다. 웨이퍼 제조 과정(Scope 1,2)뿐만 아니라, 원료물질 생산과 웨이퍼 운송(Scope 3)을 포함한 전과정에서의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고자 고객사와 공급망과의 협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목표 및 성과
목표
2040 2022 2020
Lowest Carbon Wafer PCF Reducing PCF* Measured
ㆍ고객/공급사 협력 프로젝트 기반
      Scope 3 감축 추진
ㆍESG 효과 측정 기반 제품
     탄소감축 실행
ㆍ전사 시스템 기반 탄소감축
     목표 比 실적 관리
ㆍ2040 Net Zero 실행
ㆍRE100 전환 비율 확대
ㆍISO 50001 EnMS 기반 에너지
     직접 감축
ㆍ생산/운송/폐기 전과정의 자원
     효율성 향상 과제 발굴 및 추진
     (제조 수율 개선, FOSB 재사용 등)
ㆍWafer 1장 당 탄소배출량 측정/진단
ㆍ제품 Life Cyle에 걸친 탄소배출
     기여도 분석
ㆍ주요 탄소감축 Point 도출



환경 데이터
6   환경 데이터
     

환경 정량 데이터
환경 정량 데이터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온실가스 배출 현황
직접 배출량(Scoep1) tCO2-eq 21,744.16 17,592.49 12,125.98
간접 배출량(Scope2) 375,169.21 395,839.64 285,444.40
기타 배출량(Scope3) 0 0 0
온실가스 배출량(Scope1+2) 396,913.37 413,432.13 297,570.38
온실가스 배출량 원단위(Scope1+2) tCO2-eq/십억원 217.30 178.37 197.64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 % - 6.08 11.36
온실가스 목표 배출량 tCO2-eq - 440,229 354,058
온실가스 감축 실적 tCO2-eq - 16,991.49 -13,103.78
에너지 사용량
에너지원별 에너지 소비량 직접 연료 GJ 432,789.50 5,830.16 3,991.83
간접 전기 8,397,057.34 3,458,801.82 2,483,640.36
스팀
기타
총 에너지 소비량 GJ 8,829,846.84 3,464,631.99 2,487,632.19
에너지 원단위 소비량 GJ/십억원 4,834.18 1,494.85 1,652.30
재생 에너지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 % 1.09 16.31 20.58
재생 에너지원별/조달 방식별 소비량 총 전력 소비량 MWh 2,193,668.89 1,029,487.33 774,880.46
총 재생에너지 소비량* 24,000 168,000 159,504
재생에너지원별 소비량
- 태양광, 풍력, 기타 등
0 0 0
녹색 요금제 24,000 168,000 159,504
환경오염 방지
환경 기술 및 교육 현황 ISO 내부심사원 교육 시간 - 128 212 96 180
대기/수질환경기술인 법정교육 - 84 84
국내외 환경법규 위반 현황 건수 - 0 0

*23년 녹색프리미엄을 통해 구매한 총 재생에너지량 213GWh




환경 정량 데이터
구분 단위 2021 2022 2023
대기오염물질 배출
NOx NOx 배출량 Ton 11.63 13.55 19.18
NOx 배출량 원단위 Ton/십억원 0.0063 0.0058 0.012
Sox Sox 배출량 Ton 2.289 9.62 3.24
Sox 배출량 원단위 Ton/십억원 0.0013 0.00415 0.0021
먼지 먼지 배출량 Ton 4.36354 4.44 2.34
먼지 배출량 원단위 Ton/십억원 0.0024 0.0019 0.0015
VOC VOC 배출량 Ton 0 0 0
VOC 배출량 원단위 Ton/십억원 0 0 0
폐기물
폐기물 발생량/원단위 폐기물 발생량(원단위) Ton/십억원 17.934371859 14.64 13.97
총 폐기물 발생량 Ton 32,757.942 33,935.04 21,033
유형별
발생량
일반폐기물 16,310.24 16,934.92 10,291
지정폐기물 16,447.71 17,000.12 10,742
폐기물 재활용 폐기물 재활용률 94.76 93.96 94.46
총 폐기물 재활용량 31,042.952 31,886.9 19,870
용수
용수/취수원 별 취수량 용수 취수량 원단위 Ton/십억원 8,876.96 7,055.85 7,802
총 용수 취수량 Ton 16,214,175 16,353,420 11,746,309
취수원 별
취수량
상수 128,471 127,297 114,285
기타 16,085,704 16,226,123 11,632,024
수자원 민감지역 용수 취수량 0 0 0
용수 재활용 용수 재활용 비율 % 32.81 34.32 34.97
총 용수 사용량 Ton 24,131,139 24,901,967 18,064,086
용수 재활용량 7,916,964 8,548,547 6,317,777
수질오염물질 배출
TOC TOC 배출량 Ton 556.36 352.38 219.60
TOC 배출량 원단위 Ton/십억원 0.304 0.152 0.145
BOD BOD 배출량 Ton 670.83 641.7 450.8
BOD 배출량 원단위 Ton/십억원 0.37 0.276 0.299
T-N T-N 배출량 Ton 296.85 312.49 203.01
T-N 배출량 원단위 Ton/십억원 0.16 0.13 0.13